시작과 성장일지 5

화학과 교수님과 상담 (2022학년도)

오랜만에 군 전역 후 돌아왔다. (+ 어학 공부도 해왔다.) 정말 앞으로의 모든 행보에 따라 내 진로가 결정된다는 사실은, 설레면서 두렵기도 하다. 막중한 책임감을 가졌지만, 그 속에서 즐거움을 찾아보려고 노력중이다. 오늘 글은, 요 근래 내가 가지고 있던 고민을, 2022학년도에 이미 교수님과의 상담을 통해 해결했던 파일을 찾았기에, 이 내용을 같이 공유해보려고 한다. (넷상에 화학과 진로에 대한 정보가 너무 없다..) 이 내용은 2022년도, 내가 화학과 학부생 2학년 과정 중 질문드린 내용이며, 교수님 개인의 주관적인 의견임을 밝힌다!  Q. 대학원 진학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.- 현재도꾸준히 고민 중이지만, 현재 저는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. 고교 시절부터 연구에 대한 욕심도 있었고,..

[무기화학 논문] Abstract Review - 2

오늘 초록을 읽어볼 두 번째 논문입니다.Co(O)4(N)‐type single‐atom‐based catalysts and ligand‐driven modulation of electrocatalytic properties for reducing oxygen molecules - Shin - 2024 - EcoEnergy - Wiley Online Library  TitleCo(O)4(N)-type single-atom-based catalysts and ligand-driven modulation of electrocatalytic properties for reducing oxygen molecules  WILEY Online Library 저널에 2024 2.26에 출간된 논문이다.이 역시 마찬가지..

[유기화학 논문] Abstract Review - 1

오늘 (초록부분만) 읽어볼 논문https://inha.elsevierpure.com/en/publications/fluorescent-turn-on-detection-of-inorganic-mercury-and-methylmerc Fluorescent turn-on detection of inorganic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aqueous solution with PC micelles and live cells using fMercury species are well-known to be toxic to humans. Particularly, methylmercury is a highly toxic substance that can readily penetrate lipi..

A. 상태분석 ➜ 목표설정 ➜ 계획설립

1. 현재 나의 상태 분석하기모 대학에서 대학교 2학년 화학과 학부과정을 마치고,군 입대를 하게되며 약 1년 반 간의 학업 공백를 가졌다.어릴적부터 지식의 끝에서 투쟁하는 '연구'에 대한 로망이 있었고,지식과 시간의 한계에 종종 부딪혔던 나는, 화학연구원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.  2. 목표 설정하기막연하다고 할 수 있는 화학연구원, 이를 이루기 위해서'꾸준한 영어공부 / 구체적 전공 분야 설정 및 공부' 를  지속 할 것이다. 이 글에서는 '원하는 분야 선정(구체적으로)'을 해보려고 한다.2학년때 배웠던 전공지식을 되짚어보고, 앞으로 배울 내용들도 찾아보고,논문도 읽어보며, 나의 관심 분야,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보려고 한다.  3. 계획 설립첫째, 전역 후, 복학 전까지 주 10시간 이상 ..

The reason Why I'm gonna start tistory

Digital Personal Branding을 통한 화학도로서의 '전문성' 함양 첫째, 나만의 지식 저장고 만들기   - '나'라는 사실을 심사관들에게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지표인 '학점' 을 잘 받아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.  허나, 학점을 위한 소위 '휘발성 공부'로는 내가 목표로 하는 연구원으로서의 자질을 기르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.  내가 배운것을 남들에게 알려주고, 알려주기 위해 공부하고, 정리하며 이 공간을 화학 지식 저장고로 만들고자 한다.  명백하게도, 접근성은 Nav** Blog가 더 좋을 수 있으나, 한 눈에 학술적인 자료를 정리하는데에 있어서는 Tistory가 더  적합하다고 판단했다!  첫째, 상시채용 Trend  - 현재 우리나라는, 공채의 주 방식이었던 학점, TOEIC..